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체류/캐나다 정착기66

갈수록 강해지는 2025 여름 독감 증상 얼마전까지 독감이 유행했었습니다. 그런데 유행이라기 보다 이제 언제든 면역이 안좋으면 걸리는 것 같아요. 저희 집도 2주 전 쯤 아내를 제외하고 모두 독감에 걸렸는데요. 이번 독감 증상이 참 신기해서 적어봅니다. 영유아 독감 증상 및 대처 아이들이 기침도 콧물도 없지만 갑자기 무기력해 졌습니다. 그냥 몸이 아프다고만 하지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잘 설명을 못했어요. 그 말은 지속적인 근육통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저녁에는 엄청난 고열에 시달리기 시작했어요. 캐나다에서 응급실은 또 5시간 정도 걸릴 테니, 다음 날 워크인을 가기 위해 열 패치로 일단 지내봤습니다. 타이레놀과 에드빌 교차복용은 필수입니다. 그런데 이번 독감은 전혀 해열제가 듣지 않아서 너무 걱정됐습니다. 설마 독감이 아니라 다른 병인가 .. 2025. 5. 9.
캐나다 영유아 체했을 때 의사에게 추천받은 약 캐나다라는 타지에서 아이들이 아프면 정말 힘듧니다. 특히나 체했을 때는 증상에 따라 병원을 가야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되기 때문에 더욱 그런데요. 캐나다 응급실에서 의사가 추천해준 방법과 약들을 소개해볼게요. 언제 아이들이 체했는가?저는 아이들이 체했을 때 어떤 음식을 먹었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기록을 해놓는 편입니다. 기록을 보니 밥 양이 평소보다 비교적 많았고, 식사 후 공부를 했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아마 많은 밥을 먹었는데, 소화가 되기도 전에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이후 2시간 즈음 지나서 구토를 시작으로 열이 나는 증상을 보였습니다. 부모가 머리가 나쁜데 아이들 숫자를 모른다고 다그쳤던 제 자신이 부끄럽네요. 아이들 체했을 때 증상 및 처방 제일 먼저 몸이 .. 2025. 3. 1.
캐나다의 노노아메리카 가까이서 보니 눈물이... 최근 캐나다에서 미국의 25% 관세 부과 발표에 대응하여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은, 과거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노노재팬' 운동과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어요. 미국 불매운동의 배경과 원인캐나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캐나다 국민들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했습니다. 한국: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응하여, 한국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더 깊히는 일제 시대 때 일본제철 강제징용에 대한 배상에 불복하면서 시작됐다고 합니다. 저도 무역분쟁이 시작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미국 대체 제품 정보 공유 (보이콧 아메리카)캐나다: 캐나다에서는 미국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자국산 제품 목록이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고 있으며, 상.. 2025. 2. 7.
슬럼프에 빠지면 쉽게 벗어나기 힘든 이유, 벗어나는 법 스스로를 끝없이 무너뜨리는 슬럼프 2024년은 나에게 많은 의미가 있었던 한 해였다. 캐나다에 정착한 지 5년, 6월 25일은 그 긴 여정의 한 구간을 마무리하는 날이었다. 하지만 그날 이후, 어쩐지 마음이 붕 뜨고 집중력이 흐트러졌다. 해야 할 일들이 없어진 것도 아닌데, 무언가를 향해 달리던 발걸음이 멈춘 느낌이었다.‘이대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마음은 느슨해지고, 몸도 점점 게을러졌다. 이사 전까지 꾸준히 해왔던 유산소 운동도 어느새 멈췄고, 그 결과 배는 불룩 튀어나오고 무릎은 아프기 시작했다. 숨쉬기도 힘들고, 편두통은 점점 심해졌다. 가슴 한켠이 답답하게 조여 오는 듯한 느낌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정확히 6개월.그 긴 시간을 나는 거의 허비했다. 자기 계발을 위해 결제.. 2025.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