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캐나다에서 미국의 25% 관세 부과 발표에 대응하여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은, 과거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노노재팬' 운동과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어요.
미국 불매운동의 배경과 원인
- 캐나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캐나다 국민들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했습니다.
- 한국: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응하여, 한국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더 깊히는 일제 시대 때 일본제철 강제징용에 대한 배상에 불복하면서 시작됐다고 합니다. 저도 무역분쟁이 시작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미국 대체 제품 정보 공유 (보이콧 아메리카)
-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미국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자국산 제품 목록이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고 있으며, 상점들은 'Made in Canada' 라벨을 부착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캐나다산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한국과 다르게 노노아메리카가 아닌 메이드인캐나다 사이트가 개설되어, 미국 제품 대체 리스트가 공유중입니다.
메이드인 캐나다 사이트 구경가기
- 한국: '노노재팬'과 같은 웹사이트를 통해 일본 제품과 그 대체품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었으며, 소비자들은 이를 통해 국산 제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았습니다. 노노재팬은 2022년 폐쇄 됐습니다.
사회적 분위기와 참여
캐나다 정부에서 노노아메리카를 외친 것은 아니지만 자국 제품을 애용하자는 뉘앙스를 풍기며, 캐나다 전역에 'Don't buy american' 혹은 'Buy Canadian' 운동이 확산됐습니다. 추후 뉴스에 소셜 네트워크에 돌아다니는 리스트까지 공개되면서 노노아메리카 운동은 더욱 거세지고 있어요.
저는 전혀 느끼지 못했는데, 오늘 회사에 출근하니 항상 꽉 차있던 코카콜라가 없었습니다. 설마 재고가 떨어진건가 싶었지만, 하이네켄 무알콜 맥주만 덩그러니 냉장고에 남아있었습니다. 레이즈 과자 박스도 항상 있었는데 오늘은 없더라구요.
보이콧 아메리카 대체 품목 리스트
캐나다 미국 불매운동을 보고
캐나다가 미국 제품을 불매 운동하고 있는데 조금은 안쓰럽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생각보다 대체제가 많지 않았고, 핵심적인 것들은 대체불가상품이 많았습니다. 예를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대체제가 없어 블랙베리나 다른 나라 제품이 제시되고 있었습니다. 차량도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차량은 있지만 브랜드는 다 해외 제품입니다. Savaria 라는 미니밴 휠체어 악세사리 제품 회사가 있는데, 이렇게 개조된 차는 캐나다 제품이라고 캐나다 마크가 붙어있네요. 미국산 차량에 휠체어 액세스를 설치하기 위해 개조하여 내보냅니다.
노노재팬 당시 대체불가 품목이 소수 였던 한국과 비교해, 캐나다의 미국 불매운동은 처참한 모습이라 안타깝습니다. 이 운동이 얼마나 미국에게 영향을 미칠지는 잘....
'체류 > 캐나다 정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럼프에 빠지면 쉽게 벗어나기 힘든 이유, 벗어나는 법 (2) | 2025.01.18 |
---|---|
캐나다에서 집 구매, 캐나다 집 구매 시 주의 사항 및 고려하면 좋은 것 (5) | 2024.08.26 |
캐나다 이민 내 집 마련 첫 걸음 | 캐나다 키치너 워터루 캠브리지 주택 시장 체험 (1) | 2024.06.30 |
캐나다에서 퇴사/이직 현명하게 할 순 없을까? (2) | 2024.04.24 |
미라클모닝 3주 째 | 고요한 새벽 시간은 자신을 파악하기 좋은 시간 (1) | 202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