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7 코네스토가 컬리지 기계공학에서 토목으로 (Mechanical to Civil Engineering) 변경 + 문과 출신 코네스토가 컬리지 본과 등록이 다가왔습니다. 원래 기계공학으로 가려고 했으나 시빌로 변경하게 됐어요. 코네스토가 컬리지 본과 고민 성공적인 어학코스를 완료한 후 본과를 정할 시기가 왔어요. 애초에 공학을 가려고 아카데믹 업그레이딩도 해놓았습니다. 캐나다 코네스토가 컬리지 지원결과 | 코네스토가 컬리지 듀오링고 아이엘츠 CLB 요구사항 | 코네와이프 코네스토가 컬리지 지원결과 일단 결과는 탈락입니다. 아마 유학원을 거쳤다면 조건부 합격으로 떴었겠죠. 일단, 한국의 고등학교 성적표 및 대학 성적표를 평가한 결과 영어는 면제가allmyexp.tistory.com 공학군에서 추려놓은 학과는 기계, 전기, 토목공학 이었습니다. 그 중 만일을 대비해서 대학교로 트렌스퍼가 되는 학과를 고려했구요. 최종적으로 기계공.. 2025. 2. 11. 캐나다의 노노아메리카 가까이서 보니 눈물이... 최근 캐나다에서 미국의 25% 관세 부과 발표에 대응하여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은, 과거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노노재팬' 운동과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어요. 미국 불매운동의 배경과 원인캐나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반발로, 캐나다 국민들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했습니다. 한국: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응하여, 한국에서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났습니다. 더 깊히는 일제 시대 때 일본제철 강제징용에 대한 배상에 불복하면서 시작됐다고 합니다. 저도 무역분쟁이 시작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미국 대체 제품 정보 공유 (보이콧 아메리카)캐나다: 캐나다에서는 미국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자국산 제품 목록이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고 있으며, 상.. 2025. 2. 7. 또다시 시작된 트럼프식 관세 전쟁 그리고 캐나다의 선택, 승자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대상으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국제 무역 환경에 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즉각 발표하였습니다. 캐나다 미국에 즉각 보복 관세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에게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뉴스가 나오자 캐나다 달러가 급락 했습니다. 그런데 트뤼도 총리가 즉각 미국에 보복관세를 하는 내용을 발표하자 캐나다미달러대비 가치는 기존 최저점이던 코로나 펜데믹 선포 날이던 가격을 뚫고 떨어졌습니다. 캐나다 미국 보복관세 이슈 정리 트럼프 대통령은 2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추가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 2025. 2. 3. 캐나다 이민 정책 실패 심각한 문제인가요? (+인도 이민자 급증이 원인?) 캐나다의 이민 정책 실패로 최근에 많이 대두되는 것인 인도 이민자들의 급격한 증가입니다. 저는 수개월 동안 이와 같은 기사를 접하면서 너무 당연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어요. 단연 인도인의 증가가 이민 정책 실패로 단정 짓는 것은 섣부르다고 생각했거든요. 캐나다 이민자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인종 2019년 7월 처음으로 제가 캘거리 세이트 컬리지를 갔을 때 입니다. 2019년 7월 입학생인 약 180명의 학과생 중 저 포함 2명이 한국인, 단 1명이 캐네디언 그리고 나머지는 인도 학생들이었습니다. 아마 그때 글이 있거나 유튜브 영상으로 남아있을 텐데, 실로 충격적인 현상이었습니다. 업친데 덥친 격으로 코로나 펜데믹 이후 노동 시장의 침체를 완화 하기 위해 이민자를 크게 늘리기로.. 2025. 2. 3. 이전 1 2 3 4 ··· 9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