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캐나다 한국인 조심2

캐나다에서 믿고 거르는 한국인이 되어야 하는 이유 한국인끼리 등쳐먹는 사회 캐나다 말고도 외국에 나가면 꼭 듣는 소리인 "외국 가서는 한국인을 조심하라"는 말. 나 또한 수 없이 들었고, 워킹홀리데이 시절 때 부터 당해본 것이 한 두번이 아니다. 같이 일하는 한국인에게 보증금 사기 (아파트 테이크오버 해준다고 돈 받고 귀국 함), 아파트 계약 사기 (복잡하지만 테이크 오버 해준다고 계약서까지 작성해놓고 번복, 교인 이라고 절때 사기 안친다고 함)를 당했다. 그래서 이번 이민 준비 때는 철저하게 한국인과의 거래를 배제 했다. 안타까운 것은 좋은 사람들이 더 많은데, 부정적인 경험 파급력이 더욱 크기 때문에 이런 루머가 만들어 진 것 같다. 캐내다 및 외국에서 믿고 거르는 인종 캐나다 이민 생활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어떤 인종의 특성이 보인다. 계속 그런.. 2024. 2. 25.
외국에서는 한국인 조심? | 캐나다 워킹홀리데이 호스트로 살아가기 (2) | 캘거리 아파트 양도 주의점 룸메 구하기 가구도 대부분 놔두고 가셨지만, 쉐어를 위해 필요가 없는 것들이 많아 다 버렸다. 그리고 베드버그가 생기면 쉐어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아이키아에서 새 침대를 두개 구매했다. 이 때 같이 워홀하던 친구가 도와줘, 가구를 C-Train에 싣고 다운타운으로 운반할 수 있었다. 배송비를 크게 절약한 셈. 이 당시는 워홀이 정말 붐임에도 불구하고, 룸메이트를 그렇게 쉽게 구하진 못했다. 사람이 많은 만큼, 렌트룸도 많이 나와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다운타운에 룸 컨디션은 거의 비슷했기 때문에, 차별화를 둬야했다. 당시 거실 시세가 300~350불, 작은방 450~550불, 큰방 500~650불의 시세 였다. 나는 작은방 450불, 거실 2명 각 280불씩 올렸다. 이 때, 총 렌트비가 1095불이었으.. 2022. 6. 27.
반응형